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설국열차, 여성 캐릭터의 역할과 의미

by SINNANDA 2025. 4. 2.

영화 설국열차는 봉준호 감독의 독창적인 연출과 사회적 메시지가 담긴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영화 속 여성 캐릭터들은 단순한 조연이 아닌 서사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며 각각의 역할과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설국열차 속 여성 캐릭터들의 개성과 그들이 영화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영화 설국열차 포스터

1. 메이슨(틸다 스윈튼) – 억압적인 권력의 얼굴

설국열차에서 가장 인상적인 여성 캐릭터 중 하나는 바로 ‘메이슨’입니다. 메이슨은 열차의 시스템을 유지하는 핵심 인물로 독재자 윌포드를 대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녀는 권력을 가진 자들의 논리를 대변하며 서민들을 통제하는 기계적인 존재처럼 보이지만 동시에 그녀 역시 시스템의 일부로서 이용당하는 인물입니다.

틸다 스윈튼이 연기한 메이슨은 남성 캐릭터들이 주로 맡았던 권위적인 역할을 여성 캐릭터로 변형한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그녀는 우스꽝스러운 외모와 과장된 언행을 통해 폭력적인 억압을 희화화하며 동시에 현실 속 권력자들의 모순을 풍자합니다. 메이슨의 존재는 단순한 악역이 아니라 권력이 만들어내는 허위와 불평등을 그대로 드러내는 장치입니다.

2. 타냐(옥타비아 스펜서) – 모성애와 저항의 상징

타냐는 하층민 출신으로 아들과 함께 열차의 꼬리칸에서 살아갑니다. 그녀의 가장 큰 목표는 아들을 되찾는 것이며 이를 위해 혁명에 적극적으로 가담합니다. 타냐는 단순한 어머니 캐릭터를 넘어서 억압받는 계층이 어떻게 저항의 동력을 얻게 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인물입니다.

특히 그녀는 총을 다루고 선두로 나서며 혁명군을 이끄는 강인한 여성으로 묘사됩니다. 이는 기존의 할리우드 영화에서 흔히 등장하는 ‘희생적인 어머니’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싸우는 캐릭터로 그려졌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집니다.

3. 요나(고아성) – 새로운 희망과 가능성

요나는 남궁민수의 딸로 기존 질서와는 다른 감각과 능력을 지닌 캐릭터입니다. 그녀는 미래를 상징하는 인물로 기존 시스템의 틀 안에서 벗어나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보여줍니다. 특히 그녀가 가진 독특한 능력(미래를 예측하는 듯한 직감)은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결국 그녀가 마지막 생존자로 남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결론
설국열차 속 여성 캐릭터들은 각각 중요한 의미를 지닌 인물들입니다. 이들은 사회 구조와 변화에 대한 깊은 메시지를 전달하며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더욱 풍부하게 만듭니다.